팔달노인복지관 자원봉사자들.
페이지 정보

본문
노인빈곤시대‘무료급식소 천사들’ 배식하고 있는 팔달노인복지관 자원봉사자들.
음식을 준비하기 전에는 빨간 장갑을 끼고, 배식할 때는 위생장갑을 꼈다.
힘든 상황에 내몰린노인들이 찾는 곳은 무료.
기준 상향 조정에 대한 논의에 또다시 불이 붙을 전망이다.
그러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심각한 수준인 '노인빈곤' 문제 해결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65세 이상 노년층 등록취업자는 25만.
노인빈곤율은 2005년 49%에서 2020년 40.
6%포인트 감소했지만 오이시디 평균(14.
2%)에 견주면 3배가량 많다.
정부가노인빈곤을 완화하기 위해 기초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노인일자리 사업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 이 중 기초연금이노인빈곤.
적자가 560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국민연금 개혁은 수년째 난항 중이다.
수급자가 급증해 30여년 후 연금 고갈이 예견되는데도노인빈곤과 기금 안정화 등 본질을 벗어나 가치와 이념 갈등으로 개혁에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해 답답할 노릇이다.
노인들이 일자리 구직에 나서는 건 안정되지 않은 노후 탓이 큰데요, 점차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노인빈곤의 그늘을 짚어봅니다.
[리포트] 갓 지은 따끈한 밥과 반찬, 부식으로 넣은 라면 두 봉지까지.
[앵커] 초고령사회 과제를 짚어보는 연속 보도, 오늘은노인빈곤과 진료비 문제입니다.
우리나라노인빈곤율은 약 40%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데요.
특히 진료비와 간병비가 눈덩이처럼 불면서 고령층과 가족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부족해지게 된다”며 “중장기적으로 노동참여율이 낮은 청년·여성·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노인빈곤’ 1위 속 일하는 노인도 최다 한국의노인빈곤은 선진국에서 압도적인 1위다.
65살 이상노인빈곤율은 40.
정부는 소득하위 70%노인에게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기초연금을 주고 있으나, 이를 포함해도노인빈곤실태는 통계에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통계청 통계개발원이 최근 발간한 KOSTAT 통계플러스' 겨울호에 따르면,노인소득 하위.
국민연금, 직역연금, 주택연금 등 11종의 연금데이터를 연계해 연금통계를 개발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 구조적 변화와노인빈곤현황 등을 고려할 때 고령인구의 주된 소득인 연금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다층적 노후 소득보장정책.
골판지 등 폐품을 주우며 걷는노인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들이 업자에게 폐품을 판 수입으로 살아가는 모습은노인빈곤문제의 대명사”라고 지적했다.
‘연금충’ ‘노시니어(존)’ 등노인혐오 현상도 거론했다.
이같은 분석은 오는 2050년 일본 내 65.
- 이전글하는 행위는 명백한 범죄행위” 25.01.04
- 다음글들어야 할 것이란 주문이 이 25.01.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